<사이언싱 오디세이>
- 36.거울, 18.소리, 13.음악, 35.아이디, 17.영원한 생명 -
- (연계) 과학뒤집기 기본 : 40.발명, 10.전통과학, 3.거울과 렌즈, 8.소리, 25.통신 -
- (연계) 과학뒤집기 심화 : 32.소리, 45.정보와 통신, 46.교통의 과학 -
과학의 역사 및 발명 혁신 관련 책들을 살펴 보고 있어요.
지난 주는 과학 역사 속 어떠한 과학 논쟁이 있었고, 어떤 과학 인물이 존재했으며
앞으로 우리는 어떤 과학적 생각을 하면 좋을지
생각해 보는 시간이였죠.
★★★서평★★★ 과학대논쟁, 과학토론 융합형창의영재발굴 사고력심화 과학전집필독서 사이언싱오디세이 - 휘슬러[톡톡멘토 융합STEAM교육]
http://blog.daum.net/lovelycutekids/4078
이번에는 발명, 혁신 관련 책들을 살펴보았어요~
전통과학 속 발명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어떠한 발명이 있었는지 알게 되는 시간이였죠!
거울이 없었다면?
소리는 우리에게 어떠한 선물을 주었으며, 어떠한 발명이 탄생하게 했을까?
생활에 편리를 주는 다양한 발명, 그 끝은?
흥미로운 질문을 낼 수 있었죠.
이번 주에도 알차게 배경지식을 확장했네요!
^_^
함께 본 과학뒤집기 책들도 소개해요~
시작은 과학뒤집기 기본편 <발명>, <전통과학>을 시작으로
과학뒤집기 기본편 <거울과 렌즈>과 함께 사이언싱오디세이 <거울>을 읽습니다.
<과학뒤집기 기본편 40.발명>에는 50만년 전 인류의 불 사용을 시작으로
가스등, 전구, 축음기, 진공청소기, 세탁기, 증기기관, 비행기에 이르기까지
서양의 발명 및 과학 기술 발전을 소개하고요~
<과학뒤집기 기본편 10.전통과학>은 측우기, 거중기 등 한국의 옛 발명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김치, 소주, 메주 등 음식 속 과학도 소개하지요~
서양의 과학 발전 속 한국은 어떠했을지 궁금증도 해소되고 함께 읽으니 좋네요!
^_^
4000년 전 청동거울을 시작으로 2000년 전 유리에 금박 입힌 거울에서 18세기
유리 뒤 알루미늄 금속 입힌 오늘날 거울에 이르기까지를 <과학뒤집기 기본편 3.거울과 렌즈>를 통해 알게 되요~
거울이 없었으면 어쩔 뻔 했을까요.. <사이언싱오디세이 36.거울>에 따르면 전쟁터에서도 거울은 필수품이였다죠?!ㅎㅎ
거울과 함께 렌즈가 나오고, 잠만경이 나오게 되었죠.
거울의 용도 또한 다양해서 레이저, 바코드, CD플레이어, 레이저 프린트,
그리고 광통신에 이르면서 통신의 시대가 열립니다.
거울은 우주 과학에도 한 몫을 톡톡히 하고 있는데, 바로 망원경 입니다.
<사이언싱오디세이 36.거울> 82쪽에서 거대 마젤란 망원경에 대해 만나게 되죠~
뿐만 아니라 '중력파'(95), 달에 진출한 '신호용 반사 거울'(119)도 있어요!
▼▽▼
위 사진 속 글과 같이 중력파를 왜 그렇게 애타게 찾고 있는 것일까요?
이는 과학뒤집기에서 빛 편 이후 양자역학을 지나 중력 편까지의 블로그 글 속에 있죠~ ^_^
그리고 어떻게 중력파를 찾을 수 있는지를 고민하게 되면
아래 사진과 같은 구조로 연구소를 짓는 이유를 이해하게 될 꺼예요~
<사이언싱오디세이 36.거울>에는 중력파 보다 더 흥미로운 게 하나 더 있는데, 바로 달이예요!
와우! 달에 거울이 있을 줄이야..
ㅎㅎㅎ
그 옛날 '아폴로 계획에서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는 유일한 프로젝트'라는 점이 흥미롭네요~
달을 향해 쏜 레이저 빔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것으로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한다네요!
광통신은 잠시 옆으로 놓고, 통신을 알아보기에 앞서 소리는 뺄 수 없죠~
과학뒤집기 기본편과 심화편 <소리>로 개념을 잡고, <사이언싱오디세이 18.소리>로 사회적 이슈와 미래 기술로
배경지식을 확대했어요.
그리고 소리 중 예쁜(?) 소리인 <음악>에 대해서도 읽어 보아요~
이번 주에는 로봇 대회 참가로 정신이 없었는데요, 넓은 공간에서는 목소리의 크기를 확장시키기 위해 마이크와 스피커를 사용하죠.
근데, 같은 마이크로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남자 목소리는 크게 들린 반면 여자 목소리는 전혀 않들리는 거죠..헐;; 왜 그런걸까요?
마이크와 연결된 스피커의 설정을 잘못했던 게 아닐까 싶습니다만.. -_-
여자 목소리와 남자 목소리의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스피커 또는 마이크 설정에 오류가 있던 게 아닐까요??
<사이언싱오디세이 18.소리>에서도 비슷한 내용이 언급되네요.
주파수는 1초 동안 진동 횟수로 소리의 높낮이와 관련이 있고,
남자 목소리 주파수는 125Hz인 반면 여자 목소리 주파수는 225Hz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소리의 크기는 음파의 진폭과 관련이 있고, dB 데시벨로 측정하며 높은 데시벨이 큰 소리를 냅니다.
음.. 마이크? 스피커? 과연 무슨 이유 때문에 남자 목소리는 잘 울려퍼지고 여자 목소리는 그렇지 않았던 걸까요?? ^^a
한편, <사이언싱오디세이 13.음악>에는 이런 달콤한 시적 표현도 나오네요~ "음악은 귀로 먹는 초콜릿"이다! ^_^
거울과 광통신, 소리 .. 통신 관련 배경지식도 함께 넓혀 봅니다.
소리를 통한 통신에 이어 이제는 데이터를 통한 통신이죠~ 인터넷하면 아이디, 그리고 패스워드와 관련 보안도 떠오릅니다.
과학뒤집기 기본편 <통신>과 심화편 <정보와 통신>, 그리고 <사이언싱오디세이 35.아이디>를 함께 읽었어요~
기본편은 봉수와 관련 역사 지식을 얻고,
전화기, 팩시밀리, 이메일, 교통카드, 블루투스, 네이게이션, GPS, 유비쿼터스 등이 등장하죠.
유비쿼터스, 생소하나요? ㅎㅎ 유비쿼터스 개념은 오늘날 사물인터넷 IoT 개념이죠~ ^_^
심화편도 봉수와 관련된 내용을 시작으로 전신과 전화, 무선통신(휴대폰),
그리고 데이터통신과 컴퓨터 발전, 인터넷 속 보안 및 암호 관련 지식까지 얻게 되요.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개인정보, 아이디 쪽으로도 지식이 확대될 필요가 있죠?
사이언싱오디세이 <아이디>를 읽어보면 도움되요!
생체인식시스템 뿐만 아니라 뇌와 정체성까지 언급한답니다. WOW~
▼▽▼
그 중에서 아이와 토론해 보기 좋은 주제를 <사이언싱오디세이 35.아이디> 안에서 꼽자면 84쪽 Story예요~
휴대폰 켤 때만 생체인식을 사용하는 게 아니죠~ 급식 관리에도 생체인식이 활용되고 있는데,
학생과 학부모에게 편리함을 준 것에서 그치지 않고
집안 형편이 어려워 급식비를 지원받는 학생들이 부끄러워하지 않게 도왔다는 점이요~b WOW!!!
이런 것이야 말로 진정한 혁신의 긍정적인 예죠~ ^_^
바로 위에서 통신과 관련해 '교통카드'가 등장했죠, 통신은 소리와 데이터의 이동을 책임졌다면
사람의 이동은 교통이 책임졌죠. <교통의 과학>이란 과학뒤집기 심화편 책도 함께 읽어보았어요~
그리고 이후 발명, 혁신의 끝은 어디로 향하고 있을지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사이언싱오디세이 17.영원한 생명>이 그 예가 되겠네요~
그리고 '영원한 생명'이 정말 필요한지 ^^; 토론의 주제가 되죠!
영원한 생명을 갖기 전에 인간의 삶이 지금과 같은 상태라면 무슨 의미가 있겠냐 싶은데요..하나도 행복하지 않을 것 같아요..ㅋ;
인간답게 살면서 영원한 생명이 있다면 모르겠지만요~ ㅎㅎ
<사이언싱오디세이 17.영원한 생명> 책 차례만 보아도 토론거리 한 가득이요~ ^_^
아이와 신나게(?) 이야기 주고 받기 좋아요.
특히 '텔로미어'에 대해 인터넷 조사도 하고, 그림도 그려보고, ... 알차게 활용할 수 있네요!
보통은 쾌활한 사람이 오래 살 것 같죠?
ㅎㅎㅎ
근데 꼭 그런 것만은 아니라고 하는 군요!
과연, 수명과 무엇이 연관되어 있을까~
<사이언싱오디세이 17.영원한 생명>
흥미롭게 읽어볼 수 있어요.
사이언싱오디세이 시리즈와 함께
과학뒤집기 시리즈를 함께 읽어보았는데요, 다음 주는 과학뒤집기 기본편 한 권 남았네요. ^_^
이후에는 사이언싱오디세이 시리즈 중 융합 주제, 과학을 응용한 여러 분야들을 알아볼 꺼예요~
비슷한 성향의 책들을 함께 읽으면 뜻하지 않게 통합되고,
융합된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래서 관련된 책들은 함께 읽으면 좋아요~*
알차게 읽어보세요!
^_^
로그인 필요 없어요, 아래 '♡ (공감)'도 꾹~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