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학습◈/교육방송

[과학뒤집기 심화편37.원자 책과 함께 보기] 핵분열 발견에서 아인슈타인의 후회까지

by 예똘맘 2019. 10. 7.



과학뒤집기 심화편 <37.원자>와 <38.원소>에서 주기율표를 확인했어요.

또한, 인공 핵변환을 통해 인공 합성 원소를 만들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죠~ 


원자 원소 물질의 반응 나노과학 과학 개념,원리,지식 쏙쏙! 초등과학


아래 사이트에 방문하면 보다 자세한 주기율표를 볼 수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https://www.ptable.com/?lang=ko





'원자핵의 결합에너지' 강의(https://youtu.be/4RlZgiG9gXQ) 뒷부분도 이와 관련된 내용을 언급하면서


핵분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이 나옵니다..


"'원자핵 속에 양성자를 넣기는 어려우니 중성자를 더 넣어라, 그러면 

중성자가 원자핵 속에 들어가면 저절로 양성자로 바뀐다. 그것이 베타 붕괴이다.' 주장한

페르미는 실험을 통해 밝힙니다.

화학자 스트라스만이 화학반응을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주기율표에 해당하는 화학적 특성을 갖아야하는 것입니다."






"화학적 특성이 다르게 나왔다는 것은 

원자가 둘로 쪼개졌다는 것입니다."



"전쟁 속에 페르미는 미국에 방문한 닐스 보어를 통해서

마이트너가 스웨덴에서 핵분열을 확인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질량 결손과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 E=mc² 으로

c² 만큼의 큰 에너지가 발생된다는 것을, 폭탄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미국에서도 핵분열 실험을 통한 확인을 페르미 주도하에 하게 됩니다."




과학뒤집기 심화편 <37.원자>에서 [핵폭탄을 위한 비밀 계획, 맨하튼 계획]에 해당되는 내용이지요.


과학뒤집기 심화편 <41.나노과학>에서는 아인슈타인이 편지를 쓴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는 내용이 나오죠~




이는 <아인슈타인과 상대성 이론>책 137쪽 이하에서도 읽어볼 수 있는 내용인데요,

아인슈타인의 친구였던 레오 실라르드(질라드)는 핵분열 연쇄 반응 개념을 생각해 내고

아인슈타인을 통해

루즈벨트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내게 되고

맨허튼 계획이 시작되게 되는 거죠.


그 편지는 핵폭탄을 만들려는 것 보다는 경고하기 위함이였겠죠?

결국 실라르드는 이 계획에 의구심을 품고 다시 아인슈타인을 찾아갔고, 

아인슈타인은 대통령에게 편지를 보냈지만 읽지 못한 대통령은 세상을 떠났다죠..


발견한 사람, 사용하는 사람 따로 따로..

그래서 과학이 기술로 갈 때에는 아무리 훌륭한들 그것이 인류를 위협할 수도 있다는 것. 잊지 말아야해요!





"중성자를 넣는 유도 핵분열을 할 때면 중성자가 또 나오면서 

농도가 짙은 우라늄에서 기하급수적으로 핵분열이 일어나게 됩니다.

중성자를 흡수시켜 똑같은 비율로 일어나게 만들면 원자력 발전입니다."





이와 관련된 영상을 함께 보시죠! 


https://youtu.be/4RlZgiG9gXQ